네트워크
-
서론 WAS와 Web server, 공부하는 내용에 늘 존재했고 그때마다 학습했지만, 쉽게 그 차이를 잊어버리곤 했다. 이번에 정리를 통해 학습하게 해당 내용들에 대해 이해하고 앞으론 잊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글로 남겨본다. 웹 서버(Web Server)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붜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 서버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정적 컨텐츠 : 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를 일컫는다. 웹서버가 동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WAS에게 해당 요청을 넘겨주고, WAS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W..
WAS Web Server서론 WAS와 Web server, 공부하는 내용에 늘 존재했고 그때마다 학습했지만, 쉽게 그 차이를 잊어버리곤 했다. 이번에 정리를 통해 학습하게 해당 내용들에 대해 이해하고 앞으론 잊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글로 남겨본다. 웹 서버(Web Server)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붜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 서버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정적 컨텐츠 : 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를 일컫는다. 웹서버가 동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WAS에게 해당 요청을 넘겨주고, WAS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W..
2022.12.22 -
서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할 때, HTTP는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 (Stateless) 하지만 실제 서비스에선 상태 정보를 유지해 권한 설정, 사용자 인증 등을 진행해야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몇가지 방법들이 존재했고 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Cookie 클라이언트(Client)에 저장될 목적으로 생성한 작은 정보를 담은 파일을 의미한다. 구성요소 - Name(이름) : 쿠키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키 (중복 불가) - Value(값) : 쿠키의 값 - Domain(도메인) : 쿠키가 저장된 도메인 - Path(경로) : 쿠키가 사용되는 경로 - Expires(만료기한) : 쿠키의 만료기한 예시 Session 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클라이언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서버에서 클라이..
Session/Cookie와 JWT서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할 때, HTTP는 사용자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 (Stateless) 하지만 실제 서비스에선 상태 정보를 유지해 권한 설정, 사용자 인증 등을 진행해야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몇가지 방법들이 존재했고 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Cookie 클라이언트(Client)에 저장될 목적으로 생성한 작은 정보를 담은 파일을 의미한다. 구성요소 - Name(이름) : 쿠키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키 (중복 불가) - Value(값) : 쿠키의 값 - Domain(도메인) : 쿠키가 저장된 도메인 - Path(경로) : 쿠키가 사용되는 경로 - Expires(만료기한) : 쿠키의 만료기한 예시 Session 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클라이언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서버에서 클라이..
2022.12.08 -
서론 Spring의 request를 학습하던 중 URI라는 단어가 지속적으로 나왔다. 처음엔 URL의 오타이겠거니 생각하고 쉽게 넘겼지만 많은 곳에서 URI라고 표기하고 있었고 그제서야 URI와 URL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챘다. 혼용해서 사용해도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둘의 차이점은 분명 존재하기에 이에 대해 학습해보고자 한다. 1. URI란?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을 의미한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이다. 2. URL은? URL은 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URI의 서브셋이다. 3. UR..
URI와 URL의 차이점서론 Spring의 request를 학습하던 중 URI라는 단어가 지속적으로 나왔다. 처음엔 URL의 오타이겠거니 생각하고 쉽게 넘겼지만 많은 곳에서 URI라고 표기하고 있었고 그제서야 URI와 URL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챘다. 혼용해서 사용해도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둘의 차이점은 분명 존재하기에 이에 대해 학습해보고자 한다. 1. URI란?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을 의미한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이다. 2. URL은? URL은 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URI의 서브셋이다. 3. UR..
2022.12.01 -
서론 HTTP 프로토콜 메소드 중 수정을 위한 PUT과 PATCH가 존재한다. 수정이라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2가지를 자세히 알아보면 차이를 알 수 있다. PUT과 PATCH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자. 1. PUT DB 내 자원(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CRUD의 UPDATE를 처리한다. PUT은 자원을 모두 변경하는 메소드이다. 변경을 위한 데이터가 DB에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자원으로써 저장한다. 변경을 위한 데이터가 DB에 존재하면 기존에 존재하던 자원 전체를 변경한다. 만약 PUT을 사용해 일부만 변경하고자 하여 변경 요청 데이터를 완전하지 못한 상태로 전송한다면 비어있는 값들은 null값으로 변경된다. 2. PATCH DB 내 자원(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PUT과 PATCH서론 HTTP 프로토콜 메소드 중 수정을 위한 PUT과 PATCH가 존재한다. 수정이라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2가지를 자세히 알아보면 차이를 알 수 있다. PUT과 PATCH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자. 1. PUT DB 내 자원(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CRUD의 UPDATE를 처리한다. PUT은 자원을 모두 변경하는 메소드이다. 변경을 위한 데이터가 DB에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자원으로써 저장한다. 변경을 위한 데이터가 DB에 존재하면 기존에 존재하던 자원 전체를 변경한다. 만약 PUT을 사용해 일부만 변경하고자 하여 변경 요청 데이터를 완전하지 못한 상태로 전송한다면 비어있는 값들은 null값으로 변경된다. 2. PATCH DB 내 자원(데이터)를 변경할 때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2022.12.01 -
예전 면접에 갔을 때 질문을 받았던 적도 있고 여러 기업들의 채용 필요 스택에 기재되어 있는 걸 본 적이 있었지만 어떤건지 자세히 몰랐고 당시에 공부를 하기 싫었는지 '몰라도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며 지나쳤던 기억이 있다. 마침 Flask에 대해서 구글링을 하며 공부를 하던 중, 'REST API'라는 용어가 나와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1. REST API? 우선 REST API를 알기 전 'REST'는 무엇이고 'API'는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 REST란?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자원의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그래서 REST란 1.HTTP URL을 통..
REST API예전 면접에 갔을 때 질문을 받았던 적도 있고 여러 기업들의 채용 필요 스택에 기재되어 있는 걸 본 적이 있었지만 어떤건지 자세히 몰랐고 당시에 공부를 하기 싫었는지 '몰라도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며 지나쳤던 기억이 있다. 마침 Flask에 대해서 구글링을 하며 공부를 하던 중, 'REST API'라는 용어가 나와 이번 기회에 조금이나마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1. REST API? 우선 REST API를 알기 전 'REST'는 무엇이고 'API'는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 REST란?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자원의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그래서 REST란 1.HTTP URL을 통..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