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인기 검색어

네트워크

WAS Web Server

  • -
서론

WAS와 Web server, 공부하는 내용에 늘 존재했고 그때마다 학습했지만, 쉽게 그 차이를 잊어버리곤 했다. 이번에 정리를 통해 학습하게 해당 내용들에 대해 이해하고 앞으론 잊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글로 남겨본다.

 

웹 서버(Web Server)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붜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 서버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 서버에서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정적 컨텐츠 : 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를 일컫는다.


웹서버가 동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WAS에게 해당 요청을 넘겨주고, WAS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WAS(Web Application Server)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

 

WAS는 웹 서버와 웹 컨테이너가 합쳐진 형태로 웹 서버 단독으로는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베이스의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가 필요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한다. WAS는 JSP, Servlet 구동환경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웹 컨테이너 혹은 서블릿 컨테이너라고도 불린다.

 

 

Web Server와 WAS


WAS의 구조를 살펴보면 Web server가 왜 필요해? 라고 질문할 수 도 있다. 하지만 Web Server와 WAS는 함께 존재하는 것이 좋다. WAS는 DB 조회 및 다양한 로직을 처리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정적 컨텐츠는 웹 서버에게 맡기며 기능을 분리시켜 서버 부하를 방지한다. 만약 WAS가 정적 컨텐츠 요청까지 처리하면, 부하가 커지고 동적 컨텐츠 처리가 지연되면서 수행 속도가 느려지고 이로 인해 페이지 노출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여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웹 서버를 WAS 앞에 두고 필요한 WAS들을 Web Server에 플러그인 형태로 설정하면 더욱 효율적인 분산 처리가 가능하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ssion/Cookie와 JWT  (0) 2022.12.08
URI와 URL의 차이점  (2) 2022.12.01
PUT과 PATCH  (0) 2022.12.01
REST API  (0) 2022.11.25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